연합국 공동 선언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연합국 공동 선언은 제2차 세계 대전 중이던 1942년 1월 1일, 미국, 영국, 소련, 중국 등 26개국이 서명한 선언이다. 이 선언은 1941년 8월에 발표된 대서양 헌장의 원칙을 재확인하고, 추축국에 대한 공동의 적대 행위와 별도의 평화 협상 금지를 약속했다. '연합국'이라는 용어는 이 선언을 통해 처음 공식적으로 사용되었으며, 이후 국제 연합(UN)의 탄생과 전후 국제 질서 재편에 영향을 미쳤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42년 국제 관계 - 제2차 세계 대전의 외교사
제2차 세계 대전의 외교사는 연합국, 추축국, 중립국 간의 복잡한 관계와 주요 회담, 국제기구 설립 과정을 다루며, 유럽 우선주의, 테헤란, 얄타, 포츠담 회담 등을 통해 전후 세계 질서를 구축하려는 노력이 있었다. - 1942년 문서 - 명령 제227호
명령 제227호는 1942년 스탈린이 붉은 군대에 내린 "한 걸음도 물러서지 마라!"라는 구호의 명령으로, 동부 전선에서 무단 후퇴를 금지하고 후퇴하는 자를 처벌하며 징벌 부대와 저지 부대를 편성하여 기강을 확립하려 했으나 논란이 되었다. - 1942년 문서 - 베버리지 보고서
베버리지 보고서는 1942년 영국에서 발표된 사회 보험 및 관련 서비스에 대한 보고서이며, 다섯 가지 악에 대항하기 위한 국가의 사회 보험 제도를 제안하여 영국 복지 국가 형성에 큰 영향을 미쳤다. - 1942년 1월 - 싱가포르 전투
싱가포르 전투는 1942년 일본 제국이 싱가포르를 점령한 전투이며, 연합군의 수적 우세에도 불구하고 일본군의 공세에 밀려 8만 명의 연합군이 포로로 잡히고 영국의 위신이 실추되는 결과를 낳았다. - 1942년 1월 - 발릭파판 해전
발릭파판 해전은 1942년 일본군이 발릭파판의 정유 시설을 확보하기 위해 벌인 전투로, 네덜란드군의 저항과 미 해군의 공격에도 불구하고 일본군이 승리하여 자원 확보에 성공했다.
연합국 공동 선언 | |
---|---|
선언 정보 | |
이름 | 연합국 공동 선언 |
원어 이름 | Declaration by United Nations |
발표일 | 1942년 1월 1일 |
장소 | 워싱턴 D.C. |
서명국 | |
주요 서명국 | 미국 영국 소련 중국 |
추가 서명국 | 오스트레일리아 벨기에 캐나다 코스타리카 쿠바 체코슬로바키아 도미니카 공화국 엘살바도르 그리스 과테말라 아이티 온두라스 인도 룩셈부르크 네덜란드 뉴질랜드 니카라과 노르웨이 파나마 폴란드 남아프리카 공화국 유고슬라비아 |
관련 정보 | |
관련 사건 | 제2차 세계 대전 |
결과 | 국제 연합 창설의 토대 마련 |
2. 배경
제2차 세계 대전의 연합국은 1941년 6월 세인트 제임스 궁전 선언에서 전쟁 이후 세계에 대한 원칙과 비전을 처음으로 표명했다.[1][2][27][28] 같은 해 7월에는 영국과 소비에트 연방 간의 군사 동맹인 영소 협정이 체결되었다.[3][4][29] 이 협정의 주요 내용은 전쟁에 대한 헌신과 별도의 평화 거부였으며, 이는 이후 연합국 선언의 기초가 되었다.[19] 한 달 후, 영국과 미국 간에 대서양 헌장이 합의되었고, 이후 소비에트 연방을 포함한 다른 연합국들도 9월 제2차 연합국 회의에서 이에 동참하기로 합의했다.[5][6]
2. 1. 초기 연합국 간의 협력
1941년 6월, 제1차 연합국 회의에서 합의된 세인트 제임스 궁전 선언은 연합국이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세계에 대한 원칙과 비전을 처음으로 표명한 선언이다.[1][2] 1941년 7월에는 영국과 소비에트 연방 간의 군사 동맹을 형성하는 영소 협정이 체결되었다.[3][4] 이 협정의 두 가지 주요 원칙인 전쟁에 대한 헌신과 별도의 평화 거부는 이후 연합국 선언의 기초가 되었다.[19]한 달 후, 영국과 미국 간에 대서양 헌장이 합의되었고, 이후 소비에트 연방을 포함한 다른 연합국들도 9월 제2차 연합국 회의에서 이에 동참하기로 합의했다.[5][6]
3. 연합국 공동 선언의 작성 과정
1941년 12월 29일 아르카디아 회담 중 백악관에서 미국 대통령 프랭클린 D. 루스벨트, 영국 총리 윈스턴 처칠, 그리고 루스벨트의 보좌관 해리 호프킨스가 연합국 공동 선언의 초안을 작성했으며, 소련의 제안을 포함했지만 프랑스는 참여하지 않았다.[7][8][9]
참가국들은 대서양 헌장을 준수하고, 추축국과의 전쟁에 모든 자원을 사용하며, 삼국 동맹의 당사국과 별도의 평화 협상을 추구하지 않을 것을 약속했다. 대서양 헌장과 비교하여 주요한 차이점은 루스벨트의 주장에 따라 스탈린이 승인한 종교의 자유 조항이 추가되었다는 점이다.[10][11]
선언문에서는 "적에 대한 완전한 승리가 생명, 자유, 독립, 그리고 종교의 자유를 수호하고, 자국뿐 아니라 다른 나라에서도 인권과 정의를 보존하는 데 필수적이며, 현재 세계를 정복하려는 야만적이고 잔혹한 세력에 맞서 공동 투쟁을 벌이고 있다"라는 서명국들의 관점을 확인했다. "완전한 승리"라는 원칙은 연합국이 추축국에 대해 "무조건 항복"을 요구하는 정책의 초기 전례가 되었다. "히틀러리즘"의 패배는 최상위 목표였으며, 독일, 이탈리아, 일본을 지배하는 전체주의적 군국주의 정권은 구별할 수 없다는 공통된 연합국 관점을 나타냈다.[12]
이 선언은 윌슨주의적 자결 원칙과도 일치하여 미국의 두 차례 세계 대전 참전 목표를 연결했다.[13]
3. 1. 아르카디아 회담
1941년 12월 29일 아르카디아 회담 중 백악관에서 미국 대통령 프랭클린 D. 루스벨트, 영국 총리 윈스턴 처칠, 그리고 루스벨트의 보좌관 해리 홉킨스가 연합국 공동 선언의 초안을 작성하였다.[7][8][9] 소련의 제안을 반영하였지만, 프랑스는 초안 작성 과정에 참여하지 못했다.루스벨트는 연합국을 지칭하기 위해 "연합국(United Nations)"이라는 용어를 처음으로 사용했고, "협력국(Associated Powers)"이라는 용어 대신 사용할 것을 제안했다. 처칠은 이를 수용하였고, 이 용어가 바이런 경의 시 차일드 해럴드의 순례(35절)에서 사용되었다는 점을 언급했다.[30][31]
대서양 헌장과의 주요 차이점 중 하나는 루스벨트의 주장에 따라 스탈린이 승인한 종교의 자유 조항이 추가된 것이다.[10][11]
3. 2. '연합국(United Nations)' 용어의 탄생
프랭클린 D. 루스벨트 미국 대통령은 제2차 세계 대전의 연합국을 지칭하기 위해 '연합국(United Nations)'이라는 용어를 처음 제안했고, '협력국(Associated Powers)'이라는 기존 용어를 대체했다.[7][8][9] 미국은 제1차 세계 대전 당시 연합국의 정식 일원이 아니었지만, 1917년 자칭 '협력국'으로 참전했었다. 윈스턴 처칠은 바이런 경의 시 차일드 해럴드의 순례 (35절)에서 이 용어가 사용되었음을 언급하며 루스벨트의 제안을 지지하였다.[30][31]4. 연합국 공동 선언의 주요 내용
연합국 공동 선언은 1941년 아르카디아 회담에서 프랭클린 D. 루스벨트 미국 대통령, 윈스턴 처칠 영국 총리, 해리 호프킨스가 초안을 작성했다. 소련의 제안이 포함되었지만, 프랑스는 참여하지 않았다.[7][8][9] 루스벨트 대통령이 제안한 "연합국(United Nations)"이라는 용어가 처음으로 공식 사용되었다.[7][8][9]
이 선언은 대서양 헌장의 원칙을 계승하고, 스탈린이 승인한 종교의 자유 조항을 추가하여 연합국의 기본 가치를 명확히 하였다.[10][11] 또한, 윌슨주의적 자결 원칙을 지지하여 미국의 두 차례 세계 대전 참전 명분을 연결했다.[13]
선언문은 서명국들이 대서양 헌장을 준수하고, 추축국에 맞서 모든 자원을 동원하며, 개별적인 평화 협상을 맺지 않을 것을 약속했다. "완전한 승리"를 통해 추축국의 "무조건 항복"을 받아내는 것이 연합국의 목표였으며, "히틀러주의"의 패배를 최우선 과제로 삼아 독일, 이탈리아, 일본의 전체주의 군국주의 정권을 타도하고자 했다.[12]
4. 1. 대서양 헌장의 계승
1941년 8월 14일 미국 대통령과 영국 수상이 공동 선언한 대서양 헌장에 명시된 공동 목표 및 원칙의 프로그램에 동의했다.[21] 연합국은 생명, 자유, 독립, 종교의 자유를 수호하고 자국 및 타국의 인권과 정의를 보존하기 위해 적들에 대한 완전한 승리가 필수적이며, 세계를 정복하려는 야만적이고 잔혹한 세력과의 공동 투쟁에 참여하고 있음을 확신했다.[21]4. 2. 종교의 자유 조항 추가
1941년 8월 14일, 루스벨트 미국 대통령과 처칠 영국 총리가 발표한 대서양 헌장에는 종교의 자유에 대한 언급이 명시되어 있었다.[21] 스탈린은 루스벨트의 주장에 따라 종교의 자유 조항을 추가하는 데 동의하였다.[21] 이는 추축국과 달리 연합국이 종교적 자유를 존중하는 가치를 추구한다는 것을 보여준다.[21]4. 3. 추축국에 대한 공동 대응
참가국들은 대서양 헌장을 준수하고, 추축국에 대한 전쟁에 모든 자원을 사용할 것을 약속했다. 또한, 서명국 중 어느 누구도 삼국 동맹의 당사국과 별도의 평화 협상을 추구하지 않을 것을 서약했는데, 이는 제1차 세계 대전에서 삼국 협상 국가들이 중앙 연합국과 별도의 평화 협상을 하지 않기로 합의했던 것과 같은 방식이다.[12]선언문의 내용은 "적에 대한 완전한 승리가 생명, 자유, 독립, 그리고 종교의 자유를 수호하고, 자국뿐 아니라 다른 나라에서도 인권과 정의를 보존하는 데 필수적이며, 그들이 현재 세계를 정복하려는 야만적이고 잔혹한 세력에 맞서 공동의 투쟁을 벌이고 있다"는 서명국의 관점을 확인했다. "완전한 승리"라는 원칙은 연합국의 추축국에 대한 "무조건 항복"을 얻는 정책에 대한 초기 전례를 확립했다. "히틀러리즘"의 패배가 최상위 목표였으며, 독일, 이탈리아, 그리고 일본을 지배하는 전체주의적 군국주의 정권은 구별할 수 없다는 공통된 연합국 관점을 나타냈다.[12]
5. 연합국 공동 선언 서명국
1942년 1월 1일, 미국, 영국, 소련, 중국 등 4대 강국을 중심으로 26개국이 연합국 공동 선언에 서명했다.[14][15][16] 다음 날, 22개국 정부 대표들이 추가로 서명에 참여했다.
이후 종전까지 필리핀(당시 미국 자치령), 프랑스, 아르헨티나를 제외한 모든 중남미 국가,[18] 중동과 아프리카의 독립국 등 21개국이 추가로 선언에 서명했다. 대부분의 소규모 추축국은 전쟁이 끝날 무렵 독일을 상대로 연합국과 함께 참전국으로 편을 바꾸었지만, 선언에 가입할 수는 없었다. 독일 점령하의 덴마크는 선언에 서명하지 않았지만, 1943년 이후 활발한 저항과 덴마크 대사 헨리크 카우프만이 자유 덴마크인들의 선언 가입을 표명했기에, 1945년 3월 샌프란시스코 회의에 연합국으로 초청받았다.[19][20]
5. 1. 초기 서명국 (26개국)
wikitext
5. 2. 이후 서명국 (21개국)
1942년 | |
1943년 | |
1944년 | |
1945년 |
6. 연합국 공동 선언의 의의와 영향
연합국 공동 선언은 현대 국제 연합(UN)의 기초가 되었으며,[34] 전후 국제 질서 형성에 큰 영향을 미쳤다. 이 선언은 "생명, 자유, 독립, 신앙의 자유를 지키고, 자국뿐만 아니라 타국에서도 인권과 정의를 지키기 위해서는 적에 대한 완전한 승리가 불가결하며, 세계를 복종시키려는 야만적이고 잔혹한 세력과의 공동 투쟁에 현재 종사하고 있다"는 서명국의 견해를 확인했다.
"완전한 승리" 원칙은 추축국의 "무조건 항복"을 얻는다는 연합국의 정책의 초기의 선례가 되었다. 이는 나치즘의 패배가 최대 목표였고, 독일, 이탈리아, 일본을 지배하는 전체주의적인 군국주의 정권은 구별할 수 없다는 연합국의 공통된 견해를 보여주는 것이었다.[35] 또한, 이 선언은 우드로 윌슨의 자결 원칙을 지지하며, 미국의 두 차례의 세계 대전에서의 전쟁 목적을 잇는 것이었다.[36]
서명국들은 대서양 헌장을 지키고, 추축국과의 싸움에 모든 물적·인적 자원을 투입하며, 삼국 협상 국가들이 중앙 동맹국과 개별적인 평화 협상을 하지 않기로 합의한 것처럼 독일, 이탈리아, 일본과 개별적인 평화 협상을 하지 않을 것을 약속했다.
이후, 종전까지 필리핀(독립 전 미국의 자치령), 프랑스, 아르헨티나를 제외한 모든 중남미 국가,[37] 중동과 아프리카의 독립국 등 21개국이 추가로 선언에 서명했다. 추축국의 소국 중 다수는 종전 시 대독일 공동 전선으로서 연합국에 가입했지만, 이 선언에 대한 서명은 인정받지 못했다. 독일 점령하의 덴마크는 이 선언에 서명하지 않았지만, 1943년 이후 독일에 저항하고 주미 덴마크 대사 헨리크 카우프만이 모든 자유 덴마크인의 이 선언에 대한 지지를 표명하여, 1945년 3월 샌프란시스코 회의에 연합국 일원으로서 초대되었다.[38][39]
6. 1. 국제 연합(UN)의 탄생
"연합국(United Nations)"이라는 용어는 제2차 세계 대전 중 연합국을 지칭하는 공식 명칭으로 사용되었으며,[14][15][16] 이는 1942년 1월 1일 미국, 영국, 소련, 중국 등 4대 강국이 연합국 공동 선언에 서명하면서 시작되었다. 다음 날 22개국 정부 대표들이 추가로 서명에 참여했다.이 용어는 미국 대통령 프랭클린 D. 루즈벨트가 제안했으며, 처칠은 조지 고든 바이런의 시 "차일드 해럴드의 순례"에서 이 단어가 사용된 것을 언급하며 동의했다.[30][31]
연합국 공동 선언은 현대 유엔의 기초가 되었으며,[17][34] 헌장의 기본 원칙이 되었다. 이 선언은 주권 평등, 분쟁의 평화적 해결, 집단 안보 등의 개념을 제시하였다. 또한, "생명, 자유, 독립, 신앙의 자유를 지키고, 자국뿐만 아니라 타국에서도 인권과 정의를 지키기 위해서는 적에 대한 완전한 승리가 불가결"하다는 점을 명시했다.[35] 이는 추축국에 대한 "무조건 항복"을 요구하는 연합국의 정책으로 이어졌다.[35]
전쟁이 끝날 무렵, 필리핀(당시 미국령 자치령), 프랑스, 아르헨티나를 제외한 모든 라틴 아메리카 국가,[18] 그리고 중동과 아프리카의 여러 독립국 등 21개국이 추가로 선언에 가입했다. 덴마크는 독일 점령하에 있어 서명하지 않았지만, 덴마크 대사 헨리크 카우프만이 자유 덴마크인들의 선언 가입을 표명하여 1945년 샌프란시스코 회의에 연합국으로 초청받았다.[19][20]
6. 2. 전후 국제 질서 재편
연합국 공동 선언은 추축국의 '무조건 항복'을 요구하며, 전후 처리의 기본 방향을 설정하였다.[35] 이는 "완전한 승리" 원칙에 따른 것으로, 나치즘의 패배를 최대 목표로 삼고 독일, 이탈리아, 일본을 지배하는 전체주의 군국주의 정권을 구별할 수 없다는 연합국의 공통된 견해를 보여주었다.[35] 이러한 원칙은 독일, 이탈리아, 일본 등에 대한 점령 정책과 전범 재판으로 이어졌다.7. 비판적 시각
연합국 공동 선언은 연합국의 승리라는 결과를 정당화하고, 추축국에 대한 가혹한 처벌을 합리화하는 수단으로 이용되었다는 비판이 존재한다.
참조
[1]
웹사이트
1941: The Declaration of St. James' Palace
https://www.un.org/e[...]
United Nations
2016-03-28
[2]
서적
The Evolution of International Human Rights: Visions Seen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Pennsylvania Press
2011
[3]
서적
A World at Arms, a global history of World War II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5
[4]
서적
British Foreign Policy in the Second World War
Her Majesty's Stationery Office
1962
[5]
간행물
The Inter-Allied Council Meeting in London
www.jstor.org/stable[...]
1941
[6]
웹사이트
Inter-Allied Council Statement on the Principles of the Atlantic Charter : September 24, 1941
https://avalon.law.y[...]
Yale Law School
2020-04-05
[7]
서적
The Last Lion: Defender of the Realm
Little Brown and Company
2012
[8]
웹사이트
United Nations
http://www.wordorigi[...]
2016-03-28
[9]
서적
The Roosevelts: An Intimate History
Knopf Doubleday Publishing Group
2014
[10]
서적
The Hopkins Touch: Harry Hopkins and the Forging of the Alliance to Defeat Hitler
https://books.google[...]
2013
[11]
서적
Roosevelt and Hopkins, An Intimate History
https://books.google[...]
1948
[12]
서적
Treaties and Other International Agreements of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1776–1949
Government Printing Office
1969
[13]
서적
The Marshall Plan Summer: An Eyewitness Report on Europe and the Russians in 1947
Hoover Institution Press
1977
[14]
웹사이트
1942: The Declaration by United Nations
https://www.un.org/e[...]
United Nations
2021-07-12
[15]
학술지
The Sino-American alliance during World War II and the lifting of the Chinese exclusion acts
Routledge
2003
[16]
서적
Yearbook of the United Nations 1946-1947
http://www.unmultime[...]
United Nations
1947
[17]
서적
FDR and the Creation of the U.N.
https://books.google[...]
Yale University Press
1997
[18]
서적
The Oxford Companion to World War II
http://www.encyclope[...]
2001
[19]
서적
Everyone's United Nations
https://books.google[...]
United Nations Department of Public Information
1986
[20]
서적
The Atlantic and United Nations Charters: common law prevailing for world peace and security
https://books.google[...]
Centre de recherche et d'information politique et sociale
1995
[21]
웹사이트
The Washington Conference 1941-1942
http://avalon.law.ya[...]
[22]
서적
Yearbook of the United Nations 1946-1947
http://www.unmultime[...]
United Nations
1947
[23]
학술지
The Sino-American alliance during World War II and the lifting of the Chinese exclusion acts
Routledge
2003
[24]
웹사이트
1942: Declaration of The United Nations
https://www.un.org/e[...]
United Nations
2018-12-01
[25]
학술지
The Sino-American alliance during World War II and the lifting of the Chinese exclusion acts
Routledge
2003
[26]
서적
Yearbook of the United Nations 1946-1947
http://www.unmultime[...]
United Nations
1947
[27]
웹사이트
1941: The Declaration of St. James' Palace
https://www.un.org/e[...]
United Nations
2016-03-28
[28]
서적
The Evolution of International Human Rights: Visions Seen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Pennsylvania Press
2011
[29]
웹사이트
Anglo-Soviet Agreement
https://www.bbc.co.u[...]
2021-03-16
[30]
웹사이트
United Nations
http://www.wordorigi[...]
2016-03-28
[31]
서적
The Roosevelts: An Intimate History
Knopf Doubleday Publishing Group
2014
[32]
서적
The Hopkins Touch: Harry Hopkins and the Forging of the Alliance to Defeat Hitler
https://books.google[...]
2013
[33]
서적
Roosevelt and Hopkins, An Intimate History
https://books.google[...]
1948
[34]
서적
FDR and the Creation of the U.N.
https://books.google[...]
Yale University Press
1997
[35]
서적
Treaties and Other International Agreements of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1776-1949
https://books.google[...]
Government Printing Office
1969
[36]
서적
The Marshall Plan Summer: An Eyewitness Report on Europe and the Russians in 1947
https://books.google[...]
Hoover Institution Press
[37]
백과사전
Act of Chapultepec
http://www.encyclope[...]
The Oxford Companion to World War II
[38]
서적
The Atlantic and United Nations Charters: common law prevailing for world peace and security
https://books.google[...]
Centre de recherche et d'information politique et sociale
[39]
서적
Everyone's United Nations
https://books.google[...]
United Nations Department of Public Information
[40]
서적
Yearbook of the United Nations 1946-1947
http://www.unmultime[...]
United Nations
2015-04-20
[41]
간행물
The Sino-American alliance during World War II and the lifting of the Chinese exclusion acts
Routledge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